Moxie 게시판

사파이어 리저브 업뎃 베네핏 나왔네요 연회비 $795

마팅게일 마팅게일 · 2025-06-17 08:40 카드이야기
Total Reply 24

  • 2025-06-23 11:51

    이번주에 이 카드에 많은 변화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가 다 밝혀진 다음에 메인 포스팅으로 한번 정리해볼게요. 


  • 2025-06-17 08:45

    업데이트 감사합니다. 

    제목에 이상한 단어는 고쳐드렸습니다. 


  • 2025-06-17 10:11

    지금 업그레이드 해서 $300 travel credit 받고 또 받고 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전략인 듯 해요~!


  • 2025-06-17 11:24

    전 작년 5월에 만든 사파이어 프리퍼드 연회비가 나와서 한창 루머 돌던 지지난주에 리저브로 겸사겸사 업그레이드 했어요. 계획대로 연회비 550불에 베네핏 여러개 찾아먹을수 있으면 좋겠네요. 근데 Edit 크레딧이 어쩐지 후해서 좋아라 했는데, 최소 2박이라 저한텐 거의 쓸모없어지네요 ㅠ 


  • 2025-06-17 11:31

    어 그럼 기보유자는 더 받는 건가요? ㅋ 


    • 2025-06-17 11:50

      기존 보유자는 10월 26일까지는 기존 혜택으로 똑같이 유지되고 10월 26일 이후로는 새로운 베네핏을 사용할수 있다고 하네요. 리뉴얼 연회비 변경 기준도 10월 26일이구요. 혹~시나 $300 크레딧 리셋이 될까 하고 그때까지 다 털어야겠어요 ㅋㅋ


      • 2025-06-23 15:19

        그렇지 않아도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


  • 2025-06-18 11:00

    그런데, 이 카드를 연회비를 이만큼이나 내고서 꼭 써야하는가는 의문이 많이 들겠어요. 나중에 다들 $1,000씩 내라고 하겠네요. ㅎㅎㅎ


    • 2025-06-23 11:59

      생각 해볼수록 크레딧 쓰기 너무 귀찮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지금이 딱 4/24라 IHG 처닝 전에 리저브 비즈니스 열면 좋겠다 싶었는데요 ㅠㅠ


  • 2025-06-22 14:16

    전에는 베네핏이 $300 크레딧 빼고 쓸게 없어서 Ink Preferred만 갖고있는데 리프레시 된 리저브 베네핏이 훨씬 마음에 들어요!

    저는 처닝하려면 1년 반은 더 기다려야되서 만나려면 좀 걸리겠네요 ㅠㅠ


    • 2025-06-23 11:56

      새로 바뀐 리저브 카드는 One Sapphire Rule 과 상관이 없다는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48개월 처닝룰과 상관이 없다는것이 되겠고요. 그런데 이건 아래 팝업에 문구가 보이네요. 

      다만, 아멕스처럼 팝업이 올라오는 시스템으로 바뀌었고요. 라이프타임 룰도 생길것이라는데, 이런건 일단 소문이라서 좀 기다려봐야 할것 같고요. (이 문구가 팝업에 보이는것을 그렇게 해석할 수 있겠네요.)

      팝업은 아래처럼 벌써들 올라오나봐요

      텍스트, 스크린샷, 폰트

       


    • 2025-06-23 11:54

      오 잉크 프리퍼랑 리저브 비즈니스는 관계가 없어서 저도 비즈니스 버전은 신청 가능하네요!!


  • 2025-06-23 12:07

    chase.com에는 이렇게 새로운 오퍼가 올라왔고요. 

    제휴링크는 이게 나오려면 시간이 좀 걸릴것 같아요. 리퍼럴 링크는 예전 오퍼로 아직 신청할수도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referyourchasecard.com/19s/XVNDXN8ZN6

     

    텍스트, 스크린샷, 정보기기, 폰트, 전자 기기


  • 2025-06-25 13:08

    이번에 바뀐 오퍼 신청링크 본문에 업데이트 했습니다. 


  • 2025-06-25 19:42

    사파이어 계열이 이제 처닝이 불가능한 lifetime once 사인업 보너스 라는 이야기가 들리더라고요. 내년에 프리퍼드 처닝하려고 대기하고있었는데 아쉽네요. 
    근데, 걱정이 이렇게 아멕스 처럼 바꾸면, 사파이어 프로덕트 정도에서 끝나지 않고 전체 카드 상품으로 확대되는거 아닌지 모르겠네요


    • 2025-06-25 21:59

      저도 그 소문이 사실이 아니길 고대하고 있습니다. UR마저 Life Time Rule로 바뀌면 카드 - 포인트 - 마일 - 여행 생태계가 완전 바뀌는데요^^; 


  • 2025-07-08 18:07

    20만불이라는 큰 포인트를 받을수 있는 기회인거 같아서 어떻하면 좋을까 궁리중입니다.
    언제까지 이 오퍼가 유효할까요?

    지금 저의 현재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1. 다음달정도면 Hyatt Global List 달성될것으로 보입니다.
    그후는 굳이 Hyatt 카드말고 비지니스 사파이어 리저브를 만들어 쓰면 될것 같은데…
    2. 두달전 개인 사파이어 프리퍼드를 만들어서 10만 포인트를 받은후 더이상 사용은 안하고 있고
    프리퍼드를 만들기위해 개인 사파이어 리저브카드를 언리미티드로 다운그래이드 해두었습니다.
    사파이어 리저브에 자동 subscribe 되는 fee 들이 있고 카드번호도 유지할수있어서 킾하고싶다는 생각중입니다.
    3. 그리고 실제로 비지니스용도로 쓰는 비지니스 잉크 프리퍼드(since 2023)도 있고 잉크 언리미티드(since 2024)도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비지니스 사파이어리저브를 Apply 해도 괜찮을까요? 6개월에 3만 스팬딩은 할수 있을거 같습니다.
    Approve 되었다는 가정하에 나머지 개인 사파이어 프리퍼드와 프리덤 언리미티드는 어떻할까요?

    부부가 Everyday 용으로 쓰기에…
    795불의 연회비를 감수하고 이걸 계속 사용하는것이 나을지 (여행은 많이 다닙니다만 나머지 크레딧은 다 사용할지 의문이라)
    아님 개인 프리덤 언리미티드를 다시 리저브로 바꾸어 사용하는것이 나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조언 감사히 듣겠습니다.


    • 2025-07-08 18:12

      일단 첫째로 하실일은, 댓글에 있는 잘못된 카드용어를 모두 정상적인 용어로 고쳐주실일입니다. 그렇게 되지 않으면 Fly with Moxie에서는 답을 얻으실수 없습니다. 적당한 시간 이후에 다시 와서 확인하고 답을 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025-07-08 19:34

        정정 완료하였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2025-07-09 09:44

      오퍼가 나온지 얼마 되지 않아서 조금 갈것으로 보입니다. 하얏에 자주가시면 하얏카드보다 체이스 트레블 포인트 받는 카드 사용하시는게 좋은건 맞고요. 게다다 리저브 카드는 호텔숙박에도 x4를 받으니 좋은 초이스인것은 맞다고 봅니다. 

      신청승인 여부는 정확한 크레딧 상황을 모르기에 저도 모르겠습니다. 다만, 지금 가지고 계신 카드들의 크레딧 리밋이 어느정도인지에 따라서 추측은 해 볼 수 있어요. 그동안 저희가 사용하던 개인 리저브 카드는 Visa Infinite card로서, 최소 미니멈 크레딧리밋을 $10,000로 제한하고 있었습니다. 이번에 나온 비지니스 카드도 그럴것이고요. 개인카드나 비지니스 카드의 그동안의 리밋이 얼마였는가와, 신청하다가 펜딩시에 리밋을 옮겨서 승인 받을수 있는가를 생각해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신규 신청하셔서 스펜딩을 채우는 목적이 아니라면, 그동안 가지고 계시던 카드들은 각 카테고리별로 최대치만 챙기시면서 사용하시는게 방법이고요. 적당한 카테고리가 없는 카드인데 연회비가 있는 카드들은 나중에 취소를 하시는게 통상 다들 그렇게 하십니다. 저도 프리퍼드 카드 이번에 받았는데, 스펜딩 완료후에는 원래 사용하던 패턴으로 다시 돌아갔어요. 여전히 가장 많이 사용하는 카드는 아멕스 개인골드이고, 캐피탈원 리워드 카드도 잘 사용하고요. 

      여행을 자주 가시고, 연회비 $795 카드에서 혜택을 볼것이 많다면 사용하시는건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다만, 혹시 다른 카드에서 혜택이 겹치거나 하는것들이 있는지 한번 보시고요. 1년 사용해보시고 한해동안 낸돈이 얼마인데 사용하면서 뽑았다는 돈이 얼마인지 계산을 해보시면서 계속 가져갈것인지를 결정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연회비가 $1,000이라도 내가 뽑는 금액이 $1,500이면 가져가는게 맞잖아요. 

      저는 아멕스 플래티넘 개인/비즈 카드를 한장씩 가지고 있는데요. 그래서 다른 프리미엄 카드에는 손이 잘 가지 않습니다. 사인업 보너스를 보면서 어떤카드를 할지를 결정하지요. 🙂


      • 2025-07-09 13:24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크레딧리밋은 비지니스 잉크 프리퍼드 5만 비지니스 잉크 언리미티드 5만
        2017년부터 사용하던 개인 사파이어 리저브는 4만 두달전 프리덤 언리미티드로 다운그레이드 한것도 4만 그대로 유지되어있는데
        이번에 사파이어 프리퍼드는 5천불 딱 나왔더라고요.
        좀 놀라서 물어봤더니 사파이어 리저브 밸런스가 많이 있어서 그렇다고 하네요. 그래서 지금은 거의 없앤상태이긴합니다.
        여튼 사파이어 프리퍼드는 리밋 5천불밖에 안나왔습니다. 스팬딩만채우고 UR 받고 안쓰고 있습니다.

        사파이어 비지니스카드들이 이미 2개가 있고 또 개인으로 사파이어 리저브가 있었었는데 (지금은 언리미티드지만) Apply 해도 될까요?
        리밋이 5천 이렇게 나오면 ㅋ 6개월에 3만 쓰는데 불편한데;;;

        사용하고있는 다른카드는 하얏트 카드 말고는 없습니다.... 그것도 다음달이면 Globalist 되면 Everyday 쓰는 다른카드로 돌아가야하는데...
        무얼로 Everyday 카드를 쓸지 지금 궁리중이라 조언을 구했습니다.

        언제나 조언에 감사하고 있습니다.


  • 2025-07-08 21:47

    크레딧 쌓기 시작한지 7개월 가량 되었고 Bonvoy Boundless 카드를 1달 전에 받아 5박 무료 숙박권을 받았습니다.

    이제 사파이어리저브 또는 아멕스 그린+아멕스 골드 또는 BILT 중에 한 셋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실은 지금 4/24 라서 사파이어리저브가 아닌 다른 카드를 발급받게 되면 2년간은 체이스 카드를 받을 수 없겠지요.

     

    어짜피 지금의 상황이라면 사파이어리저브를 신청해 보고 승인을 받는다면 장기 보유에 대한 추가 검토를 해야되겠지만..

    과연 사파이어리저브를 시도하는 것이 맞는 접근법인지 솔직히 생각이 많기에 질문을 드려 봅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카드 중 주로 쓰는 카드는 BoA의 Customized Cash Rewards 와 Amex의 Delta Gold 였습니다만
    둘 다 한도가 높지 않아  지금 당장은 Bonvoy Boundless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Bonus Offer 달성을 위해 달리기도 했습니다.)

    미국에 온지 얼마 되지 않아 꽤 많은 스펜딩을 했었다면 이제는 여행도 생각해서 Travel 목적의 카드를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4/24 상태라 이번이 마지막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과거 Moxie님의 글을 보니 마일 게임으로는 당연히 필요한 카드이겠지만...
    일상 생활에서도 많은 영향을 끼칠 Amex Gold 같은 효용성은 아닐 수 있기에 문의를 드립니다.

    아, 체이스와의 관계는 아예 없진 않고, 쌓고 있습니다. (Checking + Direct Deposit, Savings Account 등)

     

    감사합니다.


    • 2025-07-09 09:51

      크레딧 히스토리가 7개월이시면 어쩌면 리저브 카드는 힘드실수도 있습니다. Visa Infinite 카드라서 미니멈 크레딧리밋이 $10,000이 되어야 할것이고요. 크레딧 점수는 750~760정도 되셔야 될것 같아요. 

      리저브 카드는 저도 한동안 정말 잘 사용하던 카드였는데, 연회비가 지난번에 $550로 올라가고나서는 해본적이 없었어요. 워낙에 여행에서 사용하는 카드들이 많다가 보니까 혜택이 겹치는것도 많았는데, 그중에 가장 큰것이 벤쳐X 카드의 혜택이였고요. 대부분 혼자 여행/출장을 가기에 아멕스 플래티넘에서 받는것들로 괜찮더라구요. 제 계산상으로 제 여행의 패턴에서는 아멕스 플래티넘 카드는 연회비를 내고도 남는 방법이고요. 리저브 카드는 거의 even을 치는 카드라서, 저는 잘 손이 가질 않고요. 그동안에 one-sapphire rule 때문에, 보통은 사인업 보너스가 더 높은 프리퍼드 카드를 계속 쳐닝했었습니다. (이번이 다섯번째)

      4/24이시니까, 적당한 비자 시그니쳐 카드 계열에서 체이스 카드 한장 해보시는것도 방법일것 같습니다. 리저브는 조금 벽이 높아보여요. 


      • 2025-07-09 10:42

        자세하면서도 세심한 조언 감사합니다.

        실은 말씀하여주신 같은 이유로 BILT와 AMEX Gold로 선회할까해서 옵션을 붙여본 것입니다.

        지난번 Sapphire Preferred는 지점에서 진행하려 했는데 프로모션 기간이 더 될거라는 말에 알겠다고 하고 나왔더니 그 날이 마지막 날이었다죠 ㅎㅎ .

        안 맞으면 일단은 MR과 BILT로 가봐야겠습니다.

        주로 이용할 공항이 ATL이라 유나이티드나 아메리칸에어라인은 그닥 효용이 좋지 않을 것이고...숙소는..지금 갖고 있는 CHASE Marriott Bonvoy Boundless 는 종종 쓰는 걸로 가닥을 잡아야겠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