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회원 한달 실습기 및 중국 출장 발권 + 연말 항공권

안녕하세요,
뉴욕 Tri 입니다.
동부쪽 계시는 다른 분들 별 일 없으신지요?
제가 12월에 가입 할 때 까지만 해도, 요즘 날씨가 안 춥다느니 돌아다니기 좋다느니 했는데, 왠걸요... 낮에 눈 구경 하러 나갔다가 눈에 바람에 꽁꽁 얼어서 들어왔습니다. 오후 2시 반을 기해 돌아 다니지 말고 집에 있으라는 일종의 소개령도 내려졌구요. 2 Feet 이상 왔다는데, 다행히 일요일에는 날씨가 좋다니 차에 눈도 좀 치우고 해야겠습니다.
12월 말에 가입하고, 열심히 공부도 하면서 하나하나 알아 가고 있습니다. 이제야 시작 이지만 일단 열심히 모아 놓으면 잘 쓸일이 있겠지 싶어 마일리지들을 모으기 시작 했습니다.
12월: Citi AA (본인) 및 Citi AA (배우자) - 둘 다 스펜딩 채워 각각 5만 3천 조금 넘게 들어 왔습니다. (곧 AA 가 디벨류 된다고 하여, 3월 말 전에 어떻게던 표 하나 발권 하려고 제일 먼저 카드 만들었습니다.)
1월: Amex SPG Business - 카드 받아 열심히 주력 카드로 쓰고 있습니다. (매리엇과 합병으로 어떻게 될지 몰라 일단 만들어 두었습니다. 개인용도 곧 신청 하려 하구요.)
일단 이렇게 만들었고, 호텔쪽으로 뭐 해야 하나 고민 하고 있었지요. 또, 고수님들이 추천 하신 JAL 일등석 타려면 마일리지가 조금 부족하니, AA 용 카드를 하나 더 만들어야 하나 생각도 하구요. 그런데 이번에 여러 동맹체를 보다 보니 그동안 잊고 지내던 아시아나 마일리지가 갑자기 생각이 나는 겁니다. 저희는 주로 대한항공 이용했던지라 아시아나 마일리지는 별로 없겠지 했는데, 세식구 합하니 5만 7천 정도 되더군요. 호~
일단 아시아나 연락해서 가족 합산 등록 해 놓고, BOA 에서 개인 (저, 배우자 각각) 및 비지니스 만들어서 카드 사용은 했구요, 정산되면 각각 만씩, 총 삼만 마일 받게 되겠지요. 사실 예정에 없던 아시아나 카드를 만든 이유는 4월 말 경에 중국에 갈 일이 있을듯 한데, 1등석 편도가 뉴욕-인천-중국 이렇게 하면 8만 5천 이기에 마침 잘됐다 싶어 급하게 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한달간 저는 개인 2장, 비지니스 2장, 그리고 배우자는 개인 2장 이렇게 만들었는데, 1달 정도는 쉬었다가 다시 해야 겠죠?
아는 만큼 보인다고, 그동안은 쳐다도 안 보던 시티 프레스티지도 좋을것 같고 (연회비도 비싸다고 안 느껴져요. ㅎㅎ), 호텔 티어 받으려면 리츠칼튼도 좋겠고 (travel 이랑 hotel 크레딧으로 까고 나면 심지어 $5 번다는 생각이...), AA 도 좀더 필요하고, SPG 도 언제 변경될지 모르니 미리 해 놓는게 좋겠고... 등등. 마음은 급한데, 그래도 급히 먹으면 체한다고, 카드 만들기도 욕심 덜 부리고 조금은 천천히 하려 합니다.
1. 4월 말 중국 발권
4월말에 중국에 다녀 올 일이 있는데, 이전 같으면 그냥 UR 통해 모아놓은 대한항공 비지니스로 다녀 왔을텐데, 이번에는 아시아나도 이용 하려합니다.
(1) 뉴욕-인천-중국: 대한항공
중국 들어가는 일정상 뉴욕에서 대한항공 밤 (00시 50분) 비행기 (747-8i) 타고 인천에 새벽에 내려서 잠시 쉬었다가 중국으로 갑니다. 오는길에는 인천에서 스탑오버 며칠 하고 뉴욕 돌아오구요.
제가 체질상 주변 환경 안 가리고 잠을 아주 잘 자는데, 뉴욕-인천 구간의 경우 비지니스만 해도 밤 비행기 타면 밥 먹고 한숨 자고 나면 내릴 때 다 되서야 눈 뜹니다. 처음으로 퍼스트를 타 볼까 하는 생각도 조금은 있는데 (게다가 대한항공 최신 좌석인 코스모 스윗 2.0), 늦은 밤 비행기면 음식도 좀 그렇고, 승무원이 깨워도 착륙 할 때 까지 안 일어나고 계속 자기만 하면 왠지 조금은 억울한 (?) 느낌도 들 듯 하네요.
퍼스트 많이 타보신 고수님들 의견은 어떠신지요?
(2) 중국-인천-뉴욕: 아시아나
그리고, 돌아오는 편은 아시아나의 동북아 - 인천 (스탑오버) - 뉴욕인데 뉴욕 오는 비행기가 A380 퍼스트 스윗이라 편도 8만 5천 이네요. 위에 말씀 드린 세가족 합계로 발권 할 예정입니다. (혹시나 두명 합산만 되고, 세명 합산이 안 되는건 아니겠죠??)
이렇게 하고 보니 뉴욕-인천은 대한항공 코스모 스윗 2.0, 인천-뉴욕은 아시아나 퍼스트 스윗, 그림이 좋은데, 역시 내내 자면서 갈게 뻔한 뉴욕-인천을 퍼스트 타는건 아니라는 생각이... 아뭏튼 하루에도 몇번씩 이랬다 저랬다 합니다.
2. AA 마일 이용한 JAL 발권
3월 22일부로 AA 마일이 디벨류가 되기에, 연말 한국 여정을 미리 발권 해 놓으려구요.
이제 5만 3천 조금 넘게 있는데, 아무리 Citi AA 가 있어 10% 할인을 받아, 결국은 56,250 차감 이어도 일단은 62,500 이 있어야 하는거죠? 그럼 대략 9천 정도가 더 필요한데요...
- 얼렁 Citi AA Gold 나 Citi AA Business 를 하나 만들까요? 지난 한달간 조금 많이 만든듯 해서 좀 쉬려 했는데 괜찮을지 모르겠네요.
- 아니면 9천 마일을 사거나 ($236), 배우자것을 받아 오거나 ($112) 할 수 있기는 하네요.
- 요즘 SPG 보니 refer 프로그램이 있더라구요. 아직 순진한 제 주위 지인들을 포섭하여 비지니스 카드 만들라고 해서 건당 5천씩 받는 방법도 있겠네요. (제가 아직 개인 SPG 카드는 없어 비지니스만 리퍼 가능 할듯 해요.) 이미 1명은 꼬셨으니, 1명만 더 카드 만들게 하면 1만이 들어오니, 이걸 AA 로 보내면 되기는 하는데요... 모으기 어렵다고 고수님들이 하신 SPG 를 이리 써 버리면 조금은 허무할듯 하기도 해서요. 왠지 SPG 는 더 보람된 곳에 써야 할것만 같은 생각이 듭니다.
지금 같아서는 그냥 약간의 비용을 지불하고 배우자 마일 받아오려 하는데, 혹시 다른 좋은 방법 있을까요?
참, JAL 퍼스트를 미국 -> 나리타 구간에서 타나, 아니면 나리타 -> 미국 구간에서 타나 이 부분은 별로 안 중요하겠죠? 메뉴를 보니 조금 다른듯 하기도 하구요. (사실 제가 먹고 마시는걸 상당히 중요시 해서요. ㅎㅎ) 미주->나리타 편을 타면 저녁에 있는 인천행 비행기랑 연결이 자연스러운데, 나리타->미주 편을 타려면 연결편상 그 전날 인천->나리타를 미리 해 놓아야 할듯 합니다. 뉴욕이 하루 두번인데, 퍼스트 있는 편이 오전에 먼저 떠나는 관계로 그렇습니다.
그리고, 나리타에 있는 JAL 퍼스트 라운지 말인데요, 나리타->인천은 퍼스트 운항을 안 해서 비지니스로 가게 될 텐데, 그래도 퍼스트 라운지에 갈 수 있는지요? (막시님이 스시와 맥주를 꼭 먹어봐야 한다고 하신듯 해서요...)
제 얘기를 나누려고 했는데, 결국은 또 고수님들께 질문만 잔뜩 했네요. 시간 되실때 한 번 보시고 충고 부탁 드립니다~
-
댓글 112021.02.07
-
댓글 02015.01.24
-
댓글 112025.08.10
-
댓글 242025.08.06
-
댓글 52024.04.01
-
댓글 12025.08.13
-
댓글 22025.08.13
-
댓글 22025.08.13
-
댓글 42025.08.12
-
댓글 12025.08.11
-
댓글 32025.08.06
-
댓글 52025.08.07
-
댓글 252025.07.18
-
댓글 32025.08.05
-
댓글 462023.04.06
-
댓글 22025.08.01
-
댓글 12025.08.02
-
댓글 62025.07.29
-
댓글 72025.03.24
-
댓글 42025.07.30
-
댓글 102025.07.26
-
댓글 262025.06.17
-
댓글 92025.07.27
-
댓글 292022.07.05
-
댓글 62025.07.25
-
댓글 32025.07.26
-
댓글 22025.07.25
-
댓글 22025.07.25
-
댓글 22025.07.25
-
댓글 32025.07.23
-
댓글 82025.06.07
-
댓글 852024.11.23
Tri님 동부지역에서 닐씨때문에 고생 많으십니다. 저는 이틀간 Weather Channel로만 봤는데, 정말 장난이 아니더라구요.
글 중간중간에 몇가지 질문을 하셨는데 하나하나 짚어보도록 하지요.
카드 신청은 씨티, 아멕스, BOA 이렇게 골고루 하신것은 잘하신것 같구요.
한 두달 정도 쉬셨다가 Tri님과 배우자께서 각 두장정도씩 더 하셔도 될것 같습니다.
한번에 왕창하시고(4~5장 이상) 6개월을 안하시는 분들도 계시구요. 한번에 2~3장씩 하시면서 2~3개월만 쉬시는 분들도 계신데요. 저는 후자의 방법으로 해 왔습니다. 리젝난적 한번도 없었어요. 스펜딩도 여유가 있구요.
다음번에 하실 카드는 UR관련 어떤 카드들이 있으신지 잘 몰라서 모르겠는데, 그쪽에서 빠진것 있으시면 하시거나, 하얏비자카드정도 하시면 될것 같구요. Citi Prestige를 혜택 잘 쓰실수 있으시면 물론 강추이구요. 릿츠 칼튼은 14만 오퍼가 올때까지 기다리세요.
Amex PRG도 여러 방법을 동원해 3개월 $1,000 스펜딩에 5만 MR포인트 오퍼 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일당 지금 발권은 제 생각엔 AA와 SPG를 섞으셔야 발권이 원활하게 될것 같아서 굳이 AA비지니스카드를 급하게 하실 필요는 없는것 같아요.
1. 뉴욕에서 아시아나 일등석 계획도 참 좋으십니다. 747-8i 비행기 일등석 좋아요. (좋다고 얘기만 들었네요. ㅋㅋ)
그런데 써놓고 보니까 이상한게, 뉴욕-인천 아시아나 비행기는 A380-800 아닌가요? B747-8i는 대한항공일텐데요?
대한항공 가족 합산은, 마일을 소유하신 세분이 직계가족이라야 합니다. 세분이 들어가있는 가족 증명서를 대한항공에 보내셔야 하실수 있어요. 이 과정이 시간이 좀 걸리니까 부지런히 하시는게 좋을거예요. (엘에이에 있는 대한항공 사무실에 전화하시면 친절하게 알려주세요)
혼자 여행 하시는거죠? 일등석에서 주무시면 안됩니다.
타시기 전에 충분히 피로를 푸시고 일등석에서는 고급 음식과 서비스를 즐기셔야 합니다.ㅋㅋ
아시아나 비행기를 아직 한번도 못타본 저로서는 아시아나 일등석 후기가 참 궁금하네요. (이번 3월에 아시아나 처음으로 타 보게 되었어요. ㅋ)
2. AA마일로 JAL 발권하실때, 자리만 있다면 62,500마일이 일단 필요합니다. 그리고 발권후에 10%을 돌려 받는것이구요.
가용한 포인트가 있으신데 AA마일을 돈주고 구매하시는건 절대 반대이구요. 배우자 어카운트에서 수수료 내시고 옮겨오시는것도 좋은 방법이 아니예요. SPG에서 1만을 넘기셔셔 하세요. 필요시에는 2만을 넘겨서 5천 보너스를 받는게 정석이지만, 이 경우에는 1만이 필요하시기에 SPG에서 넘기시는게 정답 같아요. 친구분들께 리퍼도 받으실수 있고 하면, 일단 쓰시고 또 적립하시면 되지요.
3. 나리타와 미국간의 JAL 라우팅은, 일본 출발 비행기가 음식이 좀 더 좋다고 하는데요. 솔직히 하루를 더 자면서까지 그게 중요한가는 의문이긴 합니다. 저는 미주-일본 구간 편도를 탔었는데, 깜깜한 밤에 음식과 술을 먹는것 말고는 다른것을 별로 못 느꼈거든요.
미주-일본-한국의 일정일 경우에 나리타 사쿠라 라운지는 일등석을 타고 오셔서 일등 없는 비즈 환승이니까 들어가실수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요건 @기돌님이 아실듯 한데요)
만약 일본 출발 일등석으로 하시면 그냥 들어가시면 되구요. 이곳에 라운지에서 바로 만들어주는 스시가 일품!!! 맥주도 좋구요.
여러가지 좋은 옵션으로 여행계획 잘 잡고 계시네요.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저도 뭐 하나 따라서 발권해 놔야 하나 고민이예요. 🙂
앗. 제가 졸린 눈을 비비며 작성 하고 잤는데, 그 새 막시님이 답글 남겨 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오늘 일어났더니 하늘에 구름 한 점 없네요. 그리 춥지도 않고, 날씨도 맑아 기분은 좋은데, 눈 치울일이 약간 걱정 입니다~
말씀 하신대로 카드 부분은 앞으로 조금씩 만들어 나가도록 할께요. 리츠칼튼 카드가 이전에는 14만 오퍼였나봐요. 지금은 스펜딩 채우면 티어 1~4 에서 2밤 자는 오퍼더라구요. 리츠칼튼이 포인트로 숙박해도 마일리지 차감이 심해서 저는 이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약간 좋다고도 봤는데요.
역시 포인트로 받아야 좀 유도리 있게 사용 할 수 있고, 또 숙박권은 유효기간도 있을테니 포인트 쪽이 좀더 좋겠지요?
참, 그리고 UR 계열 카드는 제가 모두 있습니다. 사프, 프리덤, 잉크. 잉크 플러스는 처닝 대기중인데 요즘 심사가 너무 까다롭다 해서 별 기대는 안 하고 있구요. 지금까지 UR 로 모은 마일리지는 꽤 되는데, 대한항공으로 대부분 이미 가 있는 상태입니다.
4월말 중국 방문 쪽은 갈때는 대한항공, 올때는 아시아나에요. (제가 약간 혼란을 드린듯 해서 본문 조금 수정 했습니다.)
뉴욕은 인천행 직항이 점심 무렵 두 가지 (대한항공 및 아시아나), 그리고 자정 지나서 바로 대항항공이 한 번 더 있습니다. 작년 가을까지는 모두 A380 이었는데, 대한항공 밤 비행기가 747-8i 로 바뀌었어요. 처음에는 안좋아진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좌석은 오히려 A380 보다 업그레이드 되었더라구요. 특히 퍼스트가. 이런 이유로 갈등이 되는 거구요. 밤 비행기 타면 아무리 두 눈 똑바로 뜨고 있으려 해도 저는 분명히 쿨쿨 잘 잘게 뻔하거든요. 대부분의 비행시간을 자면서 가는데, 게다가 먹거리 마실거리도 좀 부실 하다는데, 굳이 퍼스트 타야 되나 하는 이유로요.
AA 마일은 막시님 말씀 대로 한 명 더 얼렁 포섭하여 SPG 보너스 받은 후 AA로 넘겨 사용 하도록 하겠습니다. JAL 퍼스트 자리가 잡기 힘들던데 일단 어느쪽이던 자리 확보하고, 그리고 나머지 편도 구간을 생각 하면 될 듯 합니다. 이것저것 해 보고 안되면 또 대한항공 타죠 뭐.
여러모로 좋은 충고 감사합니다~
대한항공, B747-8i 차세대 항공기 국내 첫 도입
그러게요. 최신 기종 747-8i 를 탈 수 있는 기회인데요... 역시 고민이네요. 며칠 더 생각 해 보죠.
SPG 는 한 명은 포섭 해서 포인트 기다리고 있고, 또 후보자들이 좀 있습니다. 시간이 좀 걸리면 부지런히 해야 겠네요.
릿츠 칼튼은 말씀 하신대로 포인트를 좀 더 기다려 볼께요.
여러가지 도움 말씀 감사 드립니다.
저와 같은 고민중이시네요. 뉴욕서 댄공 일등석 발권해야하는데, 코스모스윗2.0 이냐 낮비행기냐... 며칠째 고민중입니다. 칼튼은 14만 기다리는 중이고요.
저는 사실 코스모 스윗 2.0 이냐 프레스티지 스윗이냐를 고민 중입니다. 일정상 낮 비행기는 못타고 밤 비행기로 정해져 있어서요. 이미 작년 가을에 대한항공 프레스티지 스윗을 타봤는데, 약간 좁은 느낌이 있기는 했지만 그래도 편히 자는데는 아무 문제 없었습니다. 그때도 내리기 조금 전에 밥 먹으라고 깨울때 까지 거의 7시간인가를 물도 안 마시고 잠만 잤다는...
이번에 코스모 스윗2.0을 타도 똑같이 잠만 잔다면 굳이 퍼스트 타는 의미가 별로 없을듯 해서 고민중인거죠. 먹거리도 그렇고요. 그래도, 역시 출발 당일날 낮잠을 실컷 자고 자정 비행기 코스모 스윗 2.0을 함 타볼까 하는 생각도 있습니다~
늘푸르게님이 하시던 고민을 사실 저도 한 적이 있습니다. 아직 퍼스트는 꿈만 꾸던 시절이긴 했지만 747-8i 가 뉴욕에 취항하면서 오히려 좌석은 업그레이드 되기는 했는데, 문제는 저녁/밤 비행기라는 점 때문에요. 제가 내린 결론은 왕복 전부 퍼스트를 탄다면 뉴욕->인천은 낮 비행기 A380 (코스모 스윗) 으로, 인천->뉴욕은 저녁 비행기 747-8i (코스모 스윗 2.0) 로요. ^^
아. 그렇군요.
말씀하신대로 ICN-ATL (코스모스윗), JFK-ICN (코스모스윗2.0)이 좋겠네요.
a380 프리스티지랑 비교했을때, 프리스티지스윗은 어떤가요?
좌석 자체는 별 차이를 못 느꼈어요. 찾아보니 크기는 같은듯 합니다.
그런데, 아무래도 프라이버시를 강조하다보니 프레스티지 스윗은 조금 답답한 느낌이 있었습니다. 저는 창가로 앉았는데, 복도로 나갈때 자유롭게 된 점은 정말 좋았지만 통로쪽 승객이 차단막을 올리니 외려 갇힌 느낌이 있더라구요.
또, 프레스티지 창가 좌석은 창 아래 쪽으로 개인 사물함이 좀 있는데, 프레스티지 스윗은 그 부분도 없습니다. 대신 옆좌석 사이에 수납공간이 좀 있는데 사용은 조금 불편했던듯 하네요.
아... 그렇군요. 굳이 프레스티지스윗타러 뉴욕 경유할 필요는 없겠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미주에서 Jal 일등석 일등석을 이용하면 일본까지 일등석 그리고 일본에서 한국은 비즈니스를 타게 되는데요, 이 경우에도 나리타 일등석 라운지 이용이 가능합니다. 미국에서 잘 체크인 하실때 나리타 일등석 라운지 이용권을 달라고 해보라는 얘기을 들었습니다.
체크인 직원에게 나리타 잘 일등석 라운지 이용 문의를 하시면서 필요하다면 가능하다면 이용권도 받아 놓으시면 좋습니다. 이용권이 있는지는 확실치는 않습니다 ㅎㅎㅎ
아, 그렇군요. 좋은 팁 감사합니다, 기돌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