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떻게 아멕스 힐튼 카드 성애자가 되었나 (추가: 힐튼카드 세장 버전)
카드이야기 ·
안녕하세요, 요새 너무 바쁜지라 글을 쓰기가 힘들었네요. 오늘은 짧게 아멕스 힐튼 카드의 강력함을 소개하고자 잠깐 들렀습니다.
저는 여행을 다닐 때 숙박을 주로 하얏으로 많이 하려고 하는 편입니다. 캐쉬로 예약은 거의 무조건 하얏이고 가끔 메리엇으로 합니다. 힐튼은 돈내고 묵는 경우는 아주 손에 꼽습니다. 결과적으로 하얏은 매년 60QN 글로벌리스트를 달성중이고 베이스포인트도 매년 꾸준히 쌓고 있습니다. 올해는 아마 70QN+ 로 하얏을 마치게 될 것 같네요. 메리엇은 숙박권만 쓰고나면 쳐다보지 않게 됩니다.
보시듯 저는 진성 하얏팬이지만 매년 두번 정도는 포인트와 숙박권으로 힐튼의 월도프/콘라드 급으로 여행을 합니다. 작년은 월도프 마우이 와일레아/월도프 로스카보스, 올해는 월도프 칸쿤/힐튼 칸쿤/월도프 몰디브에서 숙박했고, 내년에는 월도프 파크씨티/월도프 몰디브에 묵을 예정입니다. 힐튼 카드는 이미 오래전에 한번씩 만든뒤라 아멕스 평생 한번 룰 때문에 추가로 받을 사인업 보너스도 딱히 없고, 힐튼 호텔에 돈주고 숙박하는 경우도 드물어서 힐튼 포인트가 잘 쌓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어찌저찌 매년 힐튼의 최상위 포트폴리오에서 묵고 있습니다. 과연 어떻게 이런 패턴을 계속 유지하는게 가능할까요?
이는 힐튼 카드를 적절히 업그레이드/다운그레이드 하면 연회비를 많이 내지 않고도 충분히 가능한데요, Surpass와 Aspire 카드 혜택을 적절히 조합하면 됩니다. 다만 현재는 Aspire 혜택이 너무 좋아 추후에 안좋은 방향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아 보이고, 이 마저도 아멕스가 카드 연간 베네핏을 잘게 쪼개서 매달 혹은 분기마다 크레딧을 주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어서 빠르면 내년 혹은 내후년부터는 불가능해질 전략이라고 생각되긴 합니다.
이 전략은 싱글도 가능하지만 두명 혹은 세명이서 할 때 훨씬 더 빛을 발합니다. 다만 어느 정도 스펜딩이 받쳐줘야 FNA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고, 스팬딩이 부담되시는 분들은 upgrade, annual FNA만 받아도 나쁘지 않습니다. 저는 주기적으로 큰 스펜딩이 있어서 스팬딩 숙박권이 어렵지는 않습니다.
짧게 요약 설명하자면,
1) 카드의 애니벌서리가 최대한 연말에 있어야 함
2) 각 카드당 3년 주기로 업다운, 3년 중 대략 1년 3개월은 aspire, 1년 9개월은 surpass 에 체류
3) 1인당 힐튼 카드 두장으로 진행, 2명이면 총 네장
4) 기본 컨셉: surpass 상태에서 연회비 부과 직전에 surpass -> aspire 업그레이드하고, 1년 3개월 유지 뒤 숙박권 나오면 aspire -> surpass 다운그레이드
5) 숙박권은 업그레이드/연회비 부과후 2-3개월 뒤에 받습니다.
6) 카드가 surpass 에 체류하는 기간중에는 $15k 스팬딩으로 숙박권 획득. 즉, annual spending 이 꽤 받쳐줘야 함 (저는 제 카드를 사용하고 리임버스 받는 게 많아서 가능합니다. 서패스 카드에 개인지출은 크지 않아요.)
7) 에어라인 크레딧은 싸우스웨스트로 리임버스, 이 크레딧으로 연회비의 대부분을 커버
8) 리조트 크레딧은 표에 포함하지 않았고, $250 리조트 크레딧을 풀로 뽑아 먹다보면 업그레이드/다운그레이드 시점이 조금씩 바뀌기 때문에 연회비 부분에서 추가적인 지출 발생. 그래도 $250 리조트 크레딧 사용가능하면 이렇게 하는 것이 이득이라 저는 보통 이렇게 합니다.
아래는 1인분의 대략적인 타임라인 입니다. 시작은 card1 Aspire, card2 Surpass 을 예로 할게요. year 0 는 연회비 부과 시점을 나타내기 위해서 적었고, 실제 패턴은 year1 ~ year3 이 반복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달러가 괄호로 표시된 것은 credit 이라 minus charge이고, 각 year 의 오른쪽에는 내야하는 연회비와 해당년도에 받게되는 FNA 개수를 적었습니다.
저의 경우 파트너와 제가 1년 비틀어서 시행 중입니다. 예를들면, 제가 year2 진행중이면 와이프는 year1 을 진행중인 거죠.
year 1 ~ year 3 다 합치면 연회비는 에어라인 크레딧으로 커버하기 때문에 거의 $0 (-$245-$215+$430=-$30)이고, 두명분의 free night award 를 합치면 매년 6~7장 정도가 됩니다. 2022년 1월에 8k spending then FNA 프로모션이 있었고 각자 $15k 스팬딩으로 가는 길목에 FNA 을 추가로 하나씩 받아 2022년에는 FNA를 총 8장 받기도 했습니다.
surpass $15k spending 을 둘이서 각자 채우려면 $30k 는 써야하기 때문에 일년에 대략 12만~18만 힐튼포인트 정도가 스펜딩 포인트로 들어오구요. 이게 2~3년 쌓이면 40~50만 포인트가 모입니다. 몰디브처럼 장기투숙에서 포인트 숙박시 5박째 무료 혜택을 받기 위해 모자라는 힐튼포인트는 MR 트랜스퍼 2.6:1 프로모션이 있을때 소량 옮기기도 했습니다. 리조트 크레딧은 100% 다 챙기지는 못했지만 일년에 $750 (out of $1000 maximum, 4 cards) 정도는 챙기는 편입니다.
일년에 한두번 여행 가시는 분들은 굳이 메리엇/하얏에 투자하기 보다는 이런 방식으로 힐튼만 노리시는게 훨씬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서패스 $15k 스펜딩을 위해 카드를 꾸준히 사용하다보니 아멕스 팝업 예방에도 어느정도 도움이 되기도 하구요.
=======================================
위에는 제 경우를 적었는데, 주변 친구들에게 추천하는 버전도 첨부해 봅니다. 아멕스 크레딧카드 슬랏 5장 중에 3장을 힐튼에 투자할 여유가 되시고 연간 스펜딩이 적은 분들은 오히려 아래 방법이 더 낫긴 합니다.
방법 자체는 90% 흡사하지만, 서패스 대신 기본 힐튼과 애스파이어를 왔다갔다 하는 방법입니다. 카드 세장이 각각 10/1, 11/1, 12/1 에 연회비가 부과되는 걸로 설정했고, aspire 한장과 hilton 두장으로 시작합니다.
일년에 $15k 스팬딩이 가능하신분은 다운그레이드 할때는 aspire -> hilton 으로 하시고, 그다음년도 1/1에 hilton -> surpass 로 업그레이드 한뒤 aspire 직전까지 $15k 스펜딩을 마치는 방법도 가능합니다. (예: year 1, 2/8, card1 aspire -> hilton downgrade; year 2, 1/1, card1 hilton -> surpass, 1/1~9/1 까지 $15k 스펜딩 후 $15k 스펜딩 숙박권 들어오는 것 확인한 후에 9/15 surpass -> aspire, 9/16 airline credit, 그 이후는 표와 동일)
========================================================
어떤가요, 우리 아멕스의 힐튼카드를 이용한 여행, 너무 매력적이지 않나요?
버진으로 대한항공은 비수기, 이코노미만 보이던데요.
검색해보니 331일 전에 비수기 이코노미 2장, 비즈니스 1장 풀린다고 합니다.
어느날 갑자기 댄공에서 비즈니스석 확 풀어주지 않는 이상, 성공률은 1% 도 될까 말까 한 듯 합니다. ㅠㅠ
최근에 LAX-ICN 대한항공 A380으로 바뀌면서 비즈니스 왕창 풀렸는데, 버진에서는 하나도 안보이더라구요. 그리고 이코노미는 최대 2장만 보이구요.
아.......
이코노미조차 보이는게 신기한 것이 맞군요 😥
아... 비즈니스는 물건너갔군요. ㅠㅠ
우선은 예전에도 그런 듯 한데요, 코드쉐어에도 우선순위가 부여되는 듯 하더라구요! 예를 들면, 델타의 경우 (지금은 파트너 발권을 할 경우에는 완전 마일이 똥값이 되어서 그렇지만) 예전에는 대한항공 reward ticket이 이코노미는 7장인가? 9장까지 비지니스는 5장까지도 되었던 거 같아요! 근데, 같은 코드쉐어라도 Air France & KLM의 경우 여전히 2장, 1장식으로 풀려서... 예전에 만약에 발권이 온 가족으로 할때, 우선순위가 낮은 코드쉐어부터해서 우선순위가 높은 델타로 갔던게 기억이 나요.
아무래도 버진도 이런부분에 속하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비지니스... 정말 구하기 힘든거 같고요, 특히나 대한항공은 지금 마일차감이 국민여론(?)으로 인해서 더이상 올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그걸 만회하려고 유류할증료에서 더 받는 듯 한 모양세인데 (뇌피셜이긴 하나, 유가와 상관없이... 계속 오르기만 하는 추세라서)... 이런 이유 때문이더라도 당분간 다른 파트너 항공사 마일로 대한항공 발권을 하는게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ㅠ.ㅠ; 자사 마일이 아니면 거의 다 막아놓는 느낌이 강합니다!!!
저도 버진... 겁나 바꿔놓은거... 그냥 하나도 못쓰고 있네요 ㅠ.ㅠ;
뇌피셜이 맞는 듯 합니다 ㅜㅜㅜㅜㅜ 근본없는 유류할증료 너무 짜증나요 ㅜㅜ
이방법으로 성공하신 분들을 가끔 뵙는데요. 원글에 링크 올려주신 MattC님 같은경우도요.
그런데 저도 찾아보다가 대한항공은 도저히 안보여서, 버진아틀란틱 마일은 미국내에서 델타항공 타는데 사용합니다. BA로 AA를 타는것과 거의 맞먹는 효율인것 같아요. 대한항공은 그렇게 대한항공 타셔야 하는분들께 양보하고요. 저는 다른것 타고 다니려고요. 🙂
씨티 프리미어 카드가 하나 연회비 나올때가 되어서 아까 잠깐 들어가봤는데, 버진 아틀란틱으로 전환 보너스 프로모션 하더라구요. 게시글중에 업데이트 해 놓겠습니다.
요즘 알라스카 항공 싸이트에서 대한항공 내년 여름꺼 이콘 비즈 다 많이 보이던데요. 버진에서 대한항공 자리 낚으려면 몇일 다크써클 만들면서 밤새고 폭풍클릭질 해야 할수도...
몇일 밤새서도 안될 것 같은 상황으로 파악하고 포기했습니다. 😳
그런데 알라스카로 대한항공은 LA - ICN 이 이콘(메인) 이 편도로 7만이 보이는데, 그러면 너무 많이 드는데요? JAL은 서부에서 일본이 35K로 보이는데 대한항공은 두배가 드는게 맞나요?
알라스카에서 보시는 대한항공 발권은 편도도 7만, 왕복도 7만입니다. 이게 어떻게 말이 되는가?는... 알라스카에서는 편도발권도 왕복차감을 한다고 하는게 가장 적합한 설명 같아요. 그래서 알라스카에서 대한항공을 발권하시려면, 이코노미 왕복으로 7만에 보이면 하시되, 편도 7만에는 하시면 많이 손해보십니다.
이런 발권결과를 보시는것 같습니다. 일본항공뿐만 아니고, 대한항공을 제외한 항공사로 발권하실때는 편도 35K에 되는게 맞고요.
대한항공 편도가 70K으로 보이는데,
이날짜를 넣고 왕복을 발권하려면,
알라스카 항공 싸이트에 들어간김에 아틀란타도 찍어봤더니 아래처럼 왕복 7만에 할증료 없이 직항 왕복이 나오네요.
물론 제가 지금 이코노미석을 탈것은 아니지만, 이래서 알라스카 마일을 미워할수 없는것 같습니다.
버진은 이코노미 2장, 비즈니스 1장 풀린다고 하던데, 알라스카는 몇 장씩 풀리나요?
알라스카항공도 역시 파트너사라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이코노미 2장, 비지니스 1장만 보이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