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떻게 아멕스 힐튼 카드 성애자가 되었나 (추가: 힐튼카드 세장 버전)
카드이야기 ·
안녕하세요, 요새 너무 바쁜지라 글을 쓰기가 힘들었네요. 오늘은 짧게 아멕스 힐튼 카드의 강력함을 소개하고자 잠깐 들렀습니다.
저는 여행을 다닐 때 숙박을 주로 하얏으로 많이 하려고 하는 편입니다. 캐쉬로 예약은 거의 무조건 하얏이고 가끔 메리엇으로 합니다. 힐튼은 돈내고 묵는 경우는 아주 손에 꼽습니다. 결과적으로 하얏은 매년 60QN 글로벌리스트를 달성중이고 베이스포인트도 매년 꾸준히 쌓고 있습니다. 올해는 아마 70QN+ 로 하얏을 마치게 될 것 같네요. 메리엇은 숙박권만 쓰고나면 쳐다보지 않게 됩니다.
보시듯 저는 진성 하얏팬이지만 매년 두번 정도는 포인트와 숙박권으로 힐튼의 월도프/콘라드 급으로 여행을 합니다. 작년은 월도프 마우이 와일레아/월도프 로스카보스, 올해는 월도프 칸쿤/힐튼 칸쿤/월도프 몰디브에서 숙박했고, 내년에는 월도프 파크씨티/월도프 몰디브에 묵을 예정입니다. 힐튼 카드는 이미 오래전에 한번씩 만든뒤라 아멕스 평생 한번 룰 때문에 추가로 받을 사인업 보너스도 딱히 없고, 힐튼 호텔에 돈주고 숙박하는 경우도 드물어서 힐튼 포인트가 잘 쌓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어찌저찌 매년 힐튼의 최상위 포트폴리오에서 묵고 있습니다. 과연 어떻게 이런 패턴을 계속 유지하는게 가능할까요?
이는 힐튼 카드를 적절히 업그레이드/다운그레이드 하면 연회비를 많이 내지 않고도 충분히 가능한데요, Surpass와 Aspire 카드 혜택을 적절히 조합하면 됩니다. 다만 현재는 Aspire 혜택이 너무 좋아 추후에 안좋은 방향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아 보이고, 이 마저도 아멕스가 카드 연간 베네핏을 잘게 쪼개서 매달 혹은 분기마다 크레딧을 주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어서 빠르면 내년 혹은 내후년부터는 불가능해질 전략이라고 생각되긴 합니다.
이 전략은 싱글도 가능하지만 두명 혹은 세명이서 할 때 훨씬 더 빛을 발합니다. 다만 어느 정도 스펜딩이 받쳐줘야 FNA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고, 스팬딩이 부담되시는 분들은 upgrade, annual FNA만 받아도 나쁘지 않습니다. 저는 주기적으로 큰 스펜딩이 있어서 스팬딩 숙박권이 어렵지는 않습니다.
짧게 요약 설명하자면,
1) 카드의 애니벌서리가 최대한 연말에 있어야 함
2) 각 카드당 3년 주기로 업다운, 3년 중 대략 1년 3개월은 aspire, 1년 9개월은 surpass 에 체류
3) 1인당 힐튼 카드 두장으로 진행, 2명이면 총 네장
4) 기본 컨셉: surpass 상태에서 연회비 부과 직전에 surpass -> aspire 업그레이드하고, 1년 3개월 유지 뒤 숙박권 나오면 aspire -> surpass 다운그레이드
5) 숙박권은 업그레이드/연회비 부과후 2-3개월 뒤에 받습니다.
6) 카드가 surpass 에 체류하는 기간중에는 $15k 스팬딩으로 숙박권 획득. 즉, annual spending 이 꽤 받쳐줘야 함 (저는 제 카드를 사용하고 리임버스 받는 게 많아서 가능합니다. 서패스 카드에 개인지출은 크지 않아요.)
7) 에어라인 크레딧은 싸우스웨스트로 리임버스, 이 크레딧으로 연회비의 대부분을 커버
8) 리조트 크레딧은 표에 포함하지 않았고, $250 리조트 크레딧을 풀로 뽑아 먹다보면 업그레이드/다운그레이드 시점이 조금씩 바뀌기 때문에 연회비 부분에서 추가적인 지출 발생. 그래도 $250 리조트 크레딧 사용가능하면 이렇게 하는 것이 이득이라 저는 보통 이렇게 합니다.
아래는 1인분의 대략적인 타임라인 입니다. 시작은 card1 Aspire, card2 Surpass 을 예로 할게요. year 0 는 연회비 부과 시점을 나타내기 위해서 적었고, 실제 패턴은 year1 ~ year3 이 반복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달러가 괄호로 표시된 것은 credit 이라 minus charge이고, 각 year 의 오른쪽에는 내야하는 연회비와 해당년도에 받게되는 FNA 개수를 적었습니다.
저의 경우 파트너와 제가 1년 비틀어서 시행 중입니다. 예를들면, 제가 year2 진행중이면 와이프는 year1 을 진행중인 거죠.
year 1 ~ year 3 다 합치면 연회비는 에어라인 크레딧으로 커버하기 때문에 거의 $0 (-$245-$215+$430=-$30)이고, 두명분의 free night award 를 합치면 매년 6~7장 정도가 됩니다. 2022년 1월에 8k spending then FNA 프로모션이 있었고 각자 $15k 스팬딩으로 가는 길목에 FNA 을 추가로 하나씩 받아 2022년에는 FNA를 총 8장 받기도 했습니다.
surpass $15k spending 을 둘이서 각자 채우려면 $30k 는 써야하기 때문에 일년에 대략 12만~18만 힐튼포인트 정도가 스펜딩 포인트로 들어오구요. 이게 2~3년 쌓이면 40~50만 포인트가 모입니다. 몰디브처럼 장기투숙에서 포인트 숙박시 5박째 무료 혜택을 받기 위해 모자라는 힐튼포인트는 MR 트랜스퍼 2.6:1 프로모션이 있을때 소량 옮기기도 했습니다. 리조트 크레딧은 100% 다 챙기지는 못했지만 일년에 $750 (out of $1000 maximum, 4 cards) 정도는 챙기는 편입니다.
일년에 한두번 여행 가시는 분들은 굳이 메리엇/하얏에 투자하기 보다는 이런 방식으로 힐튼만 노리시는게 훨씬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서패스 $15k 스펜딩을 위해 카드를 꾸준히 사용하다보니 아멕스 팝업 예방에도 어느정도 도움이 되기도 하구요.
=======================================
위에는 제 경우를 적었는데, 주변 친구들에게 추천하는 버전도 첨부해 봅니다. 아멕스 크레딧카드 슬랏 5장 중에 3장을 힐튼에 투자할 여유가 되시고 연간 스펜딩이 적은 분들은 오히려 아래 방법이 더 낫긴 합니다.
방법 자체는 90% 흡사하지만, 서패스 대신 기본 힐튼과 애스파이어를 왔다갔다 하는 방법입니다. 카드 세장이 각각 10/1, 11/1, 12/1 에 연회비가 부과되는 걸로 설정했고, aspire 한장과 hilton 두장으로 시작합니다.
일년에 $15k 스팬딩이 가능하신분은 다운그레이드 할때는 aspire -> hilton 으로 하시고, 그다음년도 1/1에 hilton -> surpass 로 업그레이드 한뒤 aspire 직전까지 $15k 스펜딩을 마치는 방법도 가능합니다. (예: year 1, 2/8, card1 aspire -> hilton downgrade; year 2, 1/1, card1 hilton -> surpass, 1/1~9/1 까지 $15k 스펜딩 후 $15k 스펜딩 숙박권 들어오는 것 확인한 후에 9/15 surpass -> aspire, 9/16 airline credit, 그 이후는 표와 동일)
========================================================
어떤가요, 우리 아멕스의 힐튼카드를 이용한 여행, 너무 매력적이지 않나요?
저는 위에 라운지중에 한곳도 가본적이 없긴 한데요. 맨 아래에 있는 폴라리스 라운지는 아마도 라운지입장권으로 못가는곳 같고요.
세번째 있는곳은 그 위에 있는 라운지가 문을 닫아서 잠시 팝업식으로 열어놓은것 같아서 별것 없을것 같고, 결국에는 맨 위에 있는곳에 모두들 몰릴듯 한데요?
어째 상황이 골라갈수 있는게 아니고, 그냥 맨 위에 있는곳에 가셔야 할것 같습니다.
안그래도 동생한테 맨 위에꺼 가라고 인지해줬네요~! 뭐 근데… 얼마나 다를지는 모르겠지만^^ 빨리 오고 싶다고 하네요 ㅋㅋㅋ 여행한다는 느낌 보다는 그냥 심심하고 갇혀있다는 느낌? 이라고 할까요^^
C123 게이트 앞에있는 클럽이 가장 좋은것같습니다. Explorer카드로 받은 패스 두장 쓰려고 4인 가족이 이번주에 갔는데 직원이 친절하게 그냥 4명 다 들여보내주었어요. 샤워실도 있고 최근에 레노베이션해서 좋다고 TPG 등등에서 사진 올려놓았더라구요. UA 비행기들이 쫙 잘 보여서 좋았습니다 ㅎㅎ
앗 폴라리스 라운지가 패스로 입장 가능한지 몰랐네요..
유에이 클럽패스로는 폴라리스 라운지는 입장이 안되요.
여긴 어떻게 하면 들어갈 수 있나요? ㅋㅋㅋ 비지니스나 일등석 타야 되는 건가요? ㅎㅎㅎ
생각했던 거 보다... 상당히 넓은데요?
폴라리스 라운지 수제 햄버거 정말 맛있습니다. Shakes Shack 버거보다 더~~~
이거 먹으러 한번 가야겠습니다. ㅎㅎㅎ
급~! 가고 싶은 욕망이 막 생기네요 ㅋㅋㅋ
폴라리스는 어떻게 들어가죠?
저는 비즈니스 표로 들어갔었는데, 아멕스 플래티넘 / PP 목록에는 없었습니다. 작년 일이라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결국은 비지니스 표가 있어야 된다는 거네요^^ ㅎㅎㅎ
최근에 EWR 통해서 바르셀로나 두번 갔다온 리뷰를 쓰려고 사진만 모아놓고 아직 안썼네요! 나중에 한번 올리긴 할건데.. 저 세군데를 다 가봤습니닼ㅋㅋㅋㅋㅋ
1. Pop up near C93 은 무조건 피하세요. 게이트가 이 근처라 처음에 멋모르고 갔다가.. 안에 화장실도 없는 그냥 정말 게이트만 쳐놓은거같은..? 그래도 좋은 점은 여기에 조그만 bottled water, chobani yogurt 같은게 있어서 비행기 타기전에 쟁이러만 갔습니다.
2. 폴라리스 라운지는 들어가실 수 있으면 정말 좋습니다.. made to order 로 안에서 셰프가 밥을 만들어주는데 너무 맛있었어요.. 저는 버거 고민하다가 duck risotto 를 먹었는데.. 꿀맛!
3. 팝업93을 실패하고 다음에 돌아갈땐 무조건 C123 을 가자 해서 꽤나 걸어서 (EWR 이 허브인만큼 유나이티드가 차지하고있는 게이트가 정말 넓더군요..) 가봤습니다. 크기도 무지 크고 밥도 뷔페식이지만 나쁘지 않았던거같아요. full bar + 바리스타 있는 coffee bar 가 있어서 라운지 안에서 더티차이 마시는 호강을 누리고.. 앉을데도 많아서 잘 쉬다가 왔습니다. 나올때는 골프카트 아저씨가 앞에 계시길래 혹시 저 다른 게이트까지 라이드 가능한가요? 물어보니 중간 security check 까지 데려다주실수 있고 그 다음부턴 다른 카트를 이용할 수 있다길래 EWR 에서 30년 일하신 분과 수다떨면서 골프카트 타고 왔습니다.
열심히 썼는데 지금 이미 가신거같아요 otherwhile 님 ㅋㅋㅋㅋ 잘 누리고 오세요!!!
앗... @cloud 9님... 제가 간건 아니고 동생놈이 가서 ㅋㅋㅋ 저도 이거 보고 이번에 동부출장 때 한번 가보려고 해요^^ 정보 너무나 감사합니다 🙂